본문 바로가기

2021-2/컴퓨터통신

(5)
컴퓨터통신 15주차 차세대 IP IP의 사용규모가 굉장히 커지면서 생기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자 -> 사용하던 ipV4를 업그레이드 : 여러 제안 중에서 채택된게 IPv6. v6의 현재 주소는? -> 사실 2000년 경에 나와서 20년간 SW PC같은 곳곳에 다 준비는 돼있음. 뭔가를 네트워크가 쓰던걸 바꾸는건 호환성도있고해서 쉬운게 아님. V6좋으니 거기로 옮겨가자, 하기에는 통신중 임베디드 통신용 장치도 있고 하기때문에 고장 나서 바꾸기 전까지는 V4쓰는게 많으니까. 상당기간. V4->V6로 마이그레이션(MIGRATION). 상당부분 혼용. 그 과정중 혼란... V6 옮겨가는 장점이 아주 확실해야 시도를 할텐데. 한편에선 V6연구, 다른쪽에선 V4쓰면서 주변 기술 확장, 준비해서 지속해서 쓰는 기술도 계속 나옴(NA..
컴퓨터통신 14주차 앞에서 IP의 실제전달과정 살펴봤는데, 다른 교재에 있는 강의자료를 가지고 다시 한 번 설명. 실제 전달과정 보려면 ADRESS, 그중에서도 MAC 주소 봐야함. 이건 A->B, 다른 LAN에 있을때 어떤 과정으로 동작해서 패킷이 전달되나. 중간 R을 거쳐서. 이때 중요한건 IP, MAC 각각 주소관계 잘 살펴봐야됨. 몇가지 가정 1)A는 B의 IP주소를 알고있다. A는 1111, B는 222인데, A가 서로간의 IP주소는 알고있다고 가정하는데, 가능하게 하는게 도메인 네임 서비스. 인터넷 쓰는데 숫자처럼 22, 이런걸 외우지는 않고 cau.ac.kr, naver.com 이런거를 도메인 네임. 도메인 네임을 주면 그걸로부터 IP주소를 알려주는. 그 이름에 해당되는 사이트, 호스트의 이름을 알려주는 것이 ..
컴퓨터통신 13주차 현재 세상을 만든 Internet, IP 프로토콜. 두가지 관점에서 배우는데. 첫번째로는 소문자 iinternetworking: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기술로서의 IP.. 그다음에 현존하는 패킷네트워크의 대명사 DG의 Packet switching으로서의 IP. 두가지. *인터넷 서비스 모델 인터넷이 왜 세상을 바꿨느냐. IP. 왜 세상을 바꿨나. ip가 인터넷 나오기 전 네트워크 상황 : 전화회사가 독점하고 여기는 통신망, 네트워크의 경계가 아주 확실함 그리고 통신을 하고싶은사람은 이 통신망이 요구하는 방식대로 단말기(terminal)을 사서 연결하고, 이 네트워크가 해주는 서비스를 그냥 쓰기만 하는 거 -> 문제점: 참신한 네트워크 기술이 있어도, 이 회사가 채택 안 해주면 전혀 현실세계에서 쓸..
컴퓨터통신 12주차 무선LAN에서 이동성에 관한 얘기. 처음부터 얘기했지만 무선을 쓰면 반드시 얘기해야될게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 이동성을 지원한다는것이 정확히 무슨말이냐면, 이동하면서 휴대폰(예전) 요새는 이동하면서 인터넷으로 게임도하고 그러잖아요 그거랑 같은거옝. 통신응용이 끊기지 않고 이동하면서도 계속 쓸수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모바일리티 지원. 이게 뭐든간에 기본원리는 다 똑같음. 그림에 있는 무선 LAN기준으로 설명하면, AP라고 기지국으로 생각하면됨. 기지국 관할 지역이 있고(BSS), 여기있던 C가 AP-1에 연결이돼서 통신을 하고있는데 이 C가 노트북/휴대폰이 이동을 하면, 이게 처리해야되는 원칙이 첫번째로는 1)이동감지. 그래서 이동됐다는 걸 파악을 해야함 2)C가 이동하면, 더이상 AP-1의 소속이 아니므로..
컴퓨터통신 11주차 무선랜의 매체접근제어 배우기 전에, 그 공용 주파수대역을 어떻게 다른 장치들도 같이 쓰느냐. -> 넓게 펴서 쓰면서 쓰자..해서 spread spactrum. 기존과 다른 것은, 기존은 주파수를 분할해서 간섭을 배제하는 것.(안 일어나게). tma도 시간을 쪼개서 배제. spread spactrum은 모든 유저가 시간/주파수를 쪼개지 않음. 같은 공간에서 쓴다면 간섭이 안 일어날 수는 없음. 간섭을 배제하기 보다는 간섭을 지속적이지 않게 "견디는 것". 견뎌내면서 통신을 하는 것. 그러면 어떻게 견디느냐, 서로간의 코드(자기 나름대로의 고유한 방식으로 통신). 서로 부딪혀도 신호, 음파라는 수준에서는 간섭이 일어나지만 너무 크지만 않다면 서로 상대방을 걸러내고 통신할 수 있다. 그것과 똑같이 "코드"를 ..